소소한 일상과 잡다한 정보

정보 & 일상/육아

👶 출생신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pandada 2025. 5. 20. 15:10
반응형

 

처음 아기를 맞이한 부모라면 꼭 알아야 하는 출생신고 절차예요!

드디어 아기가 태어났어요 🎉
기쁜 마음도 잠시, 이제 하나씩 행정 처리를 해야 하더라고요.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게 바로 출생신고예요.

좀 늦은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D+7일 째에 출생신고를 했어요!!!

 

출생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어디서 해야 하는지,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처음이니까 헷갈릴 수 있잖아요?
그래서 제가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봤어요!


📌 출생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해야 해요.
    (예: 5월 1일 출생이면 5월 31일까지예요.)

기한 넘기면 과태료가 나올 수도 있어서 미루지 않는 게 좋아요.

 

1개월 초과 ~ 6개월 이내 : 1만원

6개월 초과 ~ 1년 이내 : 3만원

1년 초과 : 5만원

 

이렇게 벌금을 부과합니다!! 하지만 다들 부모된 입장이라면! 출생신고는 빨리 하시겠죠?

 


🧾 필요한 서류는?

  1. 출생증명서 (병원에서 발급)
    → 산부인과에서 출생확인서와 함께 줘요. 부모가 작성하고 서명만 하면 돼요.
  2. 신분증
    → 신고하러 가는 사람(부모 중 1명) 신분증만 있어도 돼요.
  3. 혼인관계증명서
    → 대부분은 필요 없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요청될 수도 있어요.

🏢 어디서 출생신고하나요?

  • 아기가 태어난 병원 기준 주민센터
  • 또는 부모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 또는 인터넷 ( 전자가족관계등록 ) 에서 가능해요!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저는 인터넷으로 했어요!!
주민센터에서 하면 이것저것 혜택 받을 수 있는것도 한꺼번에 신청이 가능하다 하는데 주민센터를 갈 일이 없어서...

반응형

✅ 인터넷 출생신고 절차

  • 사전에 출생증명서 스캔본이 필요해요! 그리고 공동인증서, 공용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 증명서 사이트 접속

 

  • 상단 신고 -> 출생 신고 

 

  • 출생신고 내용 확인 및 신고하기

 

  • 출생일자 입력

 

  • 동의 후 신고인 정보 입력

 

  • 출생신고서 내용 작성

 

  • 한자 사용시 인명용 한자 확인 및 출생증명서 첨부

 

  • 출생신고서 작성 내용 확인 및 신청서 제출 완료

 

  • 처리 내역 확인


✅ 누가 신고할 수 있나요?

  • 엄마나 아빠가 보통 하시고요,
  • 조부모나 제3자도 가능하다고 해요.

📋 출생신고하면 뭐가 등록되나요?

  • 아이 이름, 생년월일, 성별 같은 정보가
    가족관계등록부랑 등본에 자동 반영돼요.

이후에 건강보험 자녀 등록, 아동수당, 양육수당 신청
이 출생신고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진행할 수 있어요. 이것도 천천히 다 진행해야되요.

 

의외로 행정절차 해야할 사항이 많네요 ㅜ

 


🎯 출생신고하고 나서 꼭 해야 할 것!

  • 가족관계증명서 출력해서 아기 정보 확인
  • 등본 출력해서 세대에 아기 등록됐는지 체크

이렇게만 하면 기본적인 출생신고 절차는 끝이에요.


✨ 마무리

출생신고는 우리 아기의 사회적 첫 등록 절차예요.
처음이라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막상 해보면 어렵지 않아요!

출생신고까지 끝났다면 국가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해서 신청을 해야되요....

아직도 할게 많아요!


그 내용도 곧 정리해볼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