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일상과 잡다한 정보
반응형

sshd_config 2

SSH 접속 포트 변경

SSH 접속 포트를 변경하는 이유 ■ 보상상 이유 ■ SSH 계정 정보가 외부로 유출 되었을 때에 기본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로 뚫린다. ■ SSH 계정 정보가 외부로 유출 되었을 때에 포트가 변경되어있으면 접속이 어려움으로 보안상 유리하다. 포트를 변경하기 위해 etc/ssh 경로로 이동한다. 이미 그전에 sshd_config 파일 변경을 진행했을 것이다. 따라서 해당 파일을 이번에도 동일하게 변경할 것이다. ( root 계정의 ssh 접속 허용 설정할 때에... ) 우선 cat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을 한번 봐보자. 기본 포트 사용에 따라 22번이 주석처리가 되어있을 것이다. 해당 주석을 해제하고 22번 포트를 필자는 3000번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vi 편집기 모드에서 편집을 진행하자. 내가 ..

Ubuntu root 계정 설정 및 root SSH 접속 방법

리눅스 계열의 서버를 처음 설치하면.. 처음에는 root 계정 설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유는... 우선 설치할 때에 세팅한 계정으로 접속하고, 이후에 root 계정을 설정... 따라서 root 계정에 대한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이전에 작업한 내용으로 SSH 접속을 진행한다. 이후.. root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부터 설정해주자. 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실행해준다. 자 이제부터는 명령어에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알아보자. sudo root 권한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한다. passwd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root 계정. 우선 이렇게 진행된다고 생각하면 편할듯 싶다. 위의 해당 내용은 기존 로그인 되어있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라. 이후 root 의 비번을 입력해라. 이렇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