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능력검정 시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 관련사항

pandada 2019. 5. 22. 09:26
반응형

구석기 시대 유적지

 

 

전기

  - 연천 전곡리 : 유럽식 아슐리안계 주먹도끼(아시아 최초 발견)와 동아시아식 찍개 문화기 동시 출토(한탄강유역)

  - 단양 상시리 :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는‘바위그늘’은 최고(最古)의 유적지(약 70~60만년 전)

                        : 11개의 지층 중 5층에는 상시슬기사람(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인골이 발견

  - 상원 검은 모루 : 주먹도끼, 동물뼈(구석기인의 식생활 파악)출토

  - 공주 석장리 : 1964년 남한에서 처음으로 구석기 시대 문화층의 존재가 확인된 곳으로 전기~후기 유물 모두 출토

                        : 찍개문화(외날·쌍날 찍개, 주먹도끼, 밀개, 긁개), 동물 등을 새긴 석각화(예술의 흔적)

                        : 후기의 집자리(2만년전)에서 불땐 자리 흔적 발견

 

중기

  - 창원 두루봉 동굴 : 어린이(홍수아이, 3~5세) 인골과 소년의 뼈, 동물 뼈, 화덕자리

                                : 1970년대 후반 남한 지역에서 인골 화석이 처음으로 출토되었다.

  - 제천 점말 동굴 : 인골, 사람의 얼굴을 새긴 코뿔소의 뼈

  - 덕천 승리산 동굴 : 덕천인(중기 구석기)의 어금니 2개와 어깨뼈, 승리산인(후기 구석기)의 인골이 함께 출토

                                : 1970년대 초 한반도 내에서 처음으로 구석기 시대의 인골 화석이 발견 됨.

  - 함북 종성 동관진 : 1933년 최초로 발견(한반도의 구석기 존재를 최초로 확인), 골각기와 석기, 포유동물의 화석

 

후기

  - 제주 어음리 빌레못 : 석기, 목탄류와 순록, 황곰 등의 동물 화석

  - 평산 해상 동굴 : 곰의 뼈, 화석

 

 

 

 

 

신석기 시대 유적지

 

 

 

 

토기의 종류 및 특징

구분

토기

특징

유적지

전기(BC8000~4000)

이른민무늬 토기

한반도에 처음 나타난 토기

부산 동삼동, 웅기 굴포리,

만포진

덧무늬 토기

(용기문 토기)

토기 몸체에 덧무늬를 붙인 토기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에서 이른 민무늬 토기와 함께 발견

중기(BC4000~2000)

빗살무늬 토기(즐문토기, 기하문 토기, 어글문 토기)

빗살문·기하문 등 어골문이 새겨진 회색의 V자형 토기(일본의 조몽 토기로 연결)

대부분해안이나 강가에서 발견(수변·어로 생활)

서울 암시동, 경기 미사리, 평남 청호리, 김해 수가리, 부산 동삼동, 웅기 굴포리

후기(BC1800)

변형즐문토기, 번개무늬 토기, 물결무늬 토기

밑바닥이 평평한 U자형 토기(농경·정착 생활)

암사동, 황해도 지탑리, 부산 다대동, 춘천 교동

 

유적지와 유물

  - 제주 고산리 : 최고(最古)의 유적지(약 1만년~8000년 전), 뗀석기, 덧무늬 토기와 거친 토기

  - 양양 오산리 : 최고(最古)의 집터 유적지, 흙으로 빚어 구운 안면상, 조개더미 출토

  - 부산 동삼동 : 조개더미 유적으로 패면(조개껍데기 가면), 이른민무늬토기, 바다 동물의 뼈 등이 출토

  - 웅기 굴포리 : 구석기·신석기 공통의 유적지, 조개더미, 온돌장치

  - 서울 암사동 : 빗살무늬 토기를 비롯해 돌도끼, 돌화살촉 등의 유물 다수 출토

  - 경기 미사리, 평남 청호리, 김해 수가리 : 빗살무늬 토기

  - 황해도 봉산 지탑리, 평양 남경 : 탄화된 좁쌀 등이 발견되어 신석기 시대 잡곡류(조, 피, 수수) 경작을 알 수 있다.

     (쌀이나 콩, 보리 등은 청동기 시대에 경작)

 

대표적 유물

  - 가락바퀴, 뼈바늘, 빗살무늬 토기

 

 

 

 

 

 

청동기 시대 유적지

충남 부여 송국리 유적

  - 청동기 시대의 돌널무덤과 독무덤 유적지

  - 비파형 동검이 출토. 비파형동검은 요녕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어 요녕식동검이라고도 불리는데, 한반도의 중부에서

     요녕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청동기가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

  - 입구가 좁아지다가 살짝 밖으로 접히는‘송국리형 토기’발견.

  - 송국리식 집터 : 평면 원형으로 내부 중앙에 타원형의 작업공을 설치하고, 그 양단에 기둥구멍을 판 집.

  - 송국리식 집터는 충남, 전남, 전북의 한반도 서북지역뿐만 아니라 일본 규슈지역까지도 볼 수 있다.

 

토기

  - 미송리식 토기 : 주로 청천강 이북, 요령성과 길림성 일대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토기

                           : 전기 고조선의 특징적인 유물

 

대표적 유물

  - 강화 고인돌, 반달돌칼, 갈돌, 바퀴날 도끼, 홈자귀

 

사회적 특징

  - 계급사회였으며, 이웃부족과 전쟁까지 함.

 

반응형